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윈도우 10 화면보호기 비활성화 방법 알려주세요.

1. 화면보호기란?

화면보호기(Screen Saver)는 컴퓨터 사용자의 비활동 시간 동안 화면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능입니다.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의 입력이 없을 경우, 화면보호기는 화면을 보호하기 위해 동작합니다. 화면보호기는 예전에는 주로 화면에 반복되는 그림 또는 애니메이션을 보여주었지만, 현재에는 주로 화면을 검은색으로 만들거나 호기심을 유발시키는 이미지를 보여주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화면보호기는 모니터의 OLED 또는 LED 파널에 대한 "이미지 군화"를 방지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이로써 모니터 사용 시간을 연장하고 잠재적으로 화면에 영구적인 이미지를 남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화면보호기는 윈도우 운영체제의 일부로 제공되며, 사용자는 화면보호기의 설정을 변경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2. 윈도우 10 화면보호기 비활성화 방법

윈도우 10에서 화면보호기를 비활성화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작업 표시줄에서 "시작" 버튼을 클릭합니다.
  2. 시작 메뉴에서 "설정"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3. 설정 창이 열리면 "개인 정보"를 클릭합니다.
  4. 왼쪽의 메뉴에서 "잠금 화면"을 선택합니다.
  5. 화면 우측에 있는 "화면보호기 설정" 링크를 클릭합니다.
  6. 화면보호기 설정 창이 열리면, "화면보호기" 드롭다운을 클릭합니다.
  7. 드롭다운 메뉴에서 "사용 안 함"을 선택합니다.
  8. 변경 내용을 저장하기 위해 창을 닫습니다.

이제 윈도우 10에서는 화면보호기가 비활성화될 것입니다.

3. 결론

화면보호기는 컴퓨터 사용자의 비활동 시간 동안 화면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능입니다. 윈도우 10에서 화면보호기를 비활성화하는 방법을 간략하게 소개해드렸습니다. 사용자는 위에 제시된 단계를 따라가면 손쉽게 화면보호기를 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화면보호기는 모니터의 이미지 군화를 방지하고 화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모니터의 수명을 연장하고 잠재적으로 화면에 영구적인 이미지를 남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화면보호기를 사용하는 것은 모니터의 안정성과 성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각 사용자의 환경과 용도에 따라 화면보호기의 필요성은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환경과 용도에 맞게 화면보호기를 설정하거나 비활성화하는 것이 가능합니다.